이 책은 20세기의 경제학이 절대적 빈곤을 해소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었지만 21세기의 경제학은 상대적 빈곤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는 관점에 기초하여 제도와 시스템 개혁 등과 같은 정책적 수단의 도입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한다.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무엇인가’라는 제목의 첫번째 장에선 그동안 우리가 당연시했거나, 별다른 문제의식 없이 지나쳐왔던 많은 문제에 대한 김광수 소장의 날카로운 지적을 발견할 수 있다. 두번째 장에서는 과거 참여정부 시절 이후 정부 관료들이 각종 정부정책 추진 과정에서 보여준 자기 밥그릇 지키기와 무능, 일부 정책에선 심지어 관료독재의 모습을 생생한 실례를 들어가며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세번째 장에서는 정책중심의 정당구조와 필요한 경우 초당적 협력이 필요한 상생의 정치구조로 과감한 개혁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 시대의 경제적 현상과 실상들에서 마주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할 새로운 경제학 방법론과 새시대를 향한 경제학의 패러다임의 모델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